-
스시의 정의
- 일본의 밥 요리로, 쌀밥에 날생선 등의 해산물이나 달걀 등을 조합한 음식이다.
스시의 전통적인 먹는 방식
- 와사비와 함께 먹는 것이다.
스메시의 정의
- 스메시(酢飯)는 식초를 친 쌀밥이다.
스메시의 어원
- "스"(식초)와 "메시"(밥)의 조합에서 유래되었으며, 시간이 지나면서 '메'자가 빠져 현재의 '스시'라는 용어로 발전함.
스메시의 일본어 명칭
- 밥을 샤리(シャリ)라고 부름.
- 암기법: 밥은 쌀밥이지!
- 쌀: 샤리
스시 위의 재료의 일본어 명칭
- 재료를 네타(ネタ)라고 부름.
스시의 대표적인 형태
- 스메시에 생선을 얹어 만든 니기리즈시이다.
스시의 형태
- 니기리즈시 외에도 다양한 형태가 있다.
스시의 문화적 위치
- 일본의 국민 음식 가운데 하나로 여겨진다.
"스시"라는 이름의 어원
- "시다"는 뜻의 옛 일본어 형용사 "스시(酸し)"이다.
"스시"라는 이름의 기원에 대한 설
- 발효된 생선에서 신맛이 났기 때문에 붙여졌다는 설이 있다.
현대 일본어에서 "시다"를 뜻하는 말
- "스이(酸い)"이다.
- 암기법: 시니 속 쓰리어
- 쓰리어: 스이
"스시"의 표기
- 히라가나와 한자로 "すし", "鮨", "鮓" 등으로도 표기된다.
스시의 기원
- 생선과 곡물을 함께 삭혀 보관하는 방법으로, 동남아시아에서 민물고기 보존용으로 곡물을 곁들인 방식이다.
스시의 전파 경로
- 중국 남부를 거쳐 일본에 전해진 것으로 여겨진다.
오늘날의 스시
- 에도시대 중기에 전형이 완성된 것이다.
오오미 지방의 후나즈시
- 붕어를 밥에 절이는 방식으로 만들어지는 스시이다.
후나즈시에서 내장에 채워넣은 밥
- 버리고 생선만을 밑반찬으로 먹는다.
한국의 가자미식해
- 좁쌀과 생선을 함께 염장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지는 음식으로 스시의 기원과 유사하다.
간사이 지방의 오시즈시
- 상자에 밥과 생선을 넣고 돌로 눌러 네모나게 썰어 먹는 스시이다.
니기리즈시의 정의
- 손으로 쥐어 만든 스시로, 에도에서 만들어졌다 하여 에도마에즈시라고도 부른다.
17세기에 양조 식초의 발전
- 발효 대신 식초를 사용한 스시가 만들어졌다.
현대식 스시의 등장
- 1820년경 생선과 스시를 조합시키는 방식으로 등장하였다.
하야즈시의 정의
- 식초를 사용해 빠르게 만드는 방식으로, 밥을 손으로 눌러 조미한 생선을 얹은 것이다.
스시를 만드는 과정
- "담근다(츠케루)"고 표현하며, 스시 주방은 "담그는 장소(츠케바)"라 부른다.
- 암기법: 촉촉하게 담근다.
- 촉촉하게: 츠케루
스시에 사용되는 생선
- 보통 숙성된 선어이다.
스시의 종류
- 나레즈시, 이즈시 같은 발효된 형태와 스메시에 식초로 간을 해 만든 형태가 있다.
니기리즈시의 특징
- 스메시를 손으로 쥐어 뭉친 후 생선이나 달걀 등을 올린 스시이다.
마키즈시의 정의
- 김 등을 사용해 스메시와 재료를 싼 스시로, 캘리포니아 롤도 이에 속한다.
오시즈시의 정의
- 틀에 스메시를 채우고 재료를 눌러 만든 네모난 스시이다.
지라시즈시의 정의
- 스메시 위에 재료를 흩뿌리듯 올려 내는 형태의 스시이다.
기타 스시의 종류
- 유부초밥(이나리즈시) 등의 다양한 스시가 존재한다.
스시 인증제도의 시행
- 일본 정부가 스시에 대한 인증제도를 시행했으나 음식 국수주의라는 비판이 있다.
스시 인증제도의 시행 이유
- 일식 식당에서 본래 일식과 동떨어진 요리를 제공하는 경우가 증가했기 때문이다.
스시 인증제도의 실행 여부
- 예산 문제로 인해 불투명하다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