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한국 겨울철 평균 기온의 지역별 차이
- 중강진에서 -20.8℃, 서울에서 -3.5℃, 서귀포에서 6.0℃로, 남북 간 26.8℃에 달함.
한국 겨울철 평균 기온의 상승 현상
- 30-40년마다 0.3~1℃씩 급격히 상승하는 계단식 온도 상승 현상.
한국 겨울철 한파의 발생 원인
- 음의 북극진동과 음의 극지/유라시안 패턴의 결합과 밀접히 관련됨.
한국 겨울철 강수량의 비중
- 연간 강수량의 5~10%로, 겨울은 건기임.
한국 겨울철 강수 형태
- 강수의 대부분이 눈으로 내림.
울릉도의 적설량
- 최고 기록은 294cm.
태백산맥의 다설 지역
- 오대산, 대관령, 설악산 등은 연간 1m 이상의 적설량 기록.
한국 겨울철 한파와 여름철 폭염의 상관관계
- 한파가 심할수록 여름철 폭염 발생 가능성이 높아짐.
한국 겨울 기간의 변화
- 기후 변화로 인해 겨울 시작은 늦어지고 종료는 빨라져 겨울 기간이 점점 짧아지는 추세.
한국 겨울 기간이 점점 짧아지는 주요 원인
- 지구온난화와 도시화로 인해 발생함.
서울의 겨울 시작일 변화
- 최근 30년 동안 11일 늦어짐.
한국 겨울 기간의 변화
- 지난 100년간 겨울 기간이 22일 짧아짐.
1920년대와 최근의 겨울 시작일 비교
- 1920년대: 11월 17일, 최근: 11월 30일로 늦춰짐.
한국의 기온 상승 속도
- 전 세계 평균보다 1.5배 빠르게 상승.
지난 100년간 한국 평균 기온 변화
- 평균 기온이 1.6℃ 상승.
도시화로 인한 열섬 효과
- 기온 상승의 20~30% 차지.
대도시의 기온 상승폭
- 서울, 대구 등 대도시에서 상승폭이 더 큼.
11월과 3월의 평균 기온 상승
- 11월: 0.7℃ 상승, 3월: 1℃ 상승.
기온 상승의 전반적 추세
- 모든 계절에 걸쳐 상승 중.
지구온난화의 일반적인 영향
- 해수면 온도 상승으로 인해 수증기 증발량이 증가하며 폭우나 폭설로 이어질 수 있다.
- 북극 지역의 얼음 감소로 인해 제트기류가 남북으로 요동치게 되어 이상기후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.
도시화의 영향
- 도시 지역의 열섬 효과로 인해 콘크리트와 아스팔트가 태양 복사 에너지를 많이 흡수하여 기온 상승을 가속화한다.
- 대도시에서는 겨울 기간 단축이 더 뚜렷하게 나타나며, 서울은 12일, 부산은 17일, 대구는 14일, 제주는 24일이 줄어들었다.
- 연구 결과 도시화는 겨울 기간 단축에 약 30% 정도의 영향을 미친다.
겨울 기간 단축 추세
- 1970년대 겨울 기간은 119일이었으나, 1980년대 111일, 2000년대 102일까지 감소했다.
미래 전망
- 2050년까지 여름이 19일 더 길어지고 겨울은 27일 더 짧아질 것으로 예상된다.
- 이러한 변화는 에너지 수요, 농업, 생태계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며, 장기적인 기후변화 대응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.
반응형